안경광학
- 굴절기능 refraction
유효광선속을 약 24mm 길이의 작은 안구 안으로 굴절시켜 망막(황반의 중심와)에 선명한 상을 맺도록 함
핵심 조직 : 렌즈계 - 각막, 수정체
2. 조절기능 accommodation
주시물체의 위치에 상관없이 선명상의 위치는 이동하지 않고 언제나 망막 중심와에 있음.
조절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착란원상이 형성되어 굴정이상안, 비정시가 된다.
핵심조직 : 섬모체의 모양소대, 수정체
3. 양안시기능 binocular vision
좌우 망막상을 하나로 합쳐 주시점을 기준으로 전 시야 내의 모든 물치 상호 위치를 살피는 공간감각을 일으키는 최후의 시각.
근시 : 평행광선 속의 선명상이 망막의 중심와 앞에 맺히는 비정시
- 축성근시
굴절력의 크기는 정시의 눈과 같지만 안축의 길이가 길어 망막이 눈의 상측초점보다 후방에 위치
2. 굴절성근시
안축의 길이는 정상이지만 앞의 면굴절력식인 아래 식에서 각막 혹은 수정체의 굴절면의 곡률이 크거나 투명체의 굴절률인 n이 커서 정시보다 굴절력이 큰 대
원시 : 안광학계의 상측초점이 망막의 후방에 위치하는 비정시
- 축성근시 : 안축의 길이가 정시부다 짧다.
- 굴절성 원시 : 눈의 전체 굴절력이 정시인 63D보다 적다
- 수의성 원시 : 풍부한 수정체의 조절력으로 정시처럼 중심와에 초점이 맺히게 함. 수의성원시는 정시처럼 보임.
- 정적굴절상태와 동적굴절상태
정적굴절상태 : 조절기능이 가해지지 않은 먼 곳을 보고있는 상태
동적굴절상태 : 조절작용(수정체)이 잔여된 상태
2.정시&비정시
정시 : 정적굴절상태에 있는 안광학계의 상측초점F'이 중심와에(망막중심와에 선명상), 원점은 눈 앞 무한대에 위치하며 평행광선속
비정시 : 정적굴절상태에서 눈의 상측초점F'이 망막중심와에 위치하지 않음.
착란원의 상이 크면 상이 흐리고 작아야 선명하고 좋음
원점이 무한대에 존재하지 않음.
근시 : 원점R이 눈앞 유한거리에 위치.
정적굴절상태에서 상측초점 F'이 망막중심와보다 앞에 있고, 발산광선속이다.
원시 : 원점 R이 눈 뒤 유한거리에 위치한다.
정적굴절상태에서 상측초점 F'이 망막중심와보다 뒤에 있고, 수렴광선속이다.
3. 원시
- 수의성 원시 : 풍부한 조절력으로 원,근거리 모두 양호
- 상대성 원시 : 조절력의 도움으로 원거리 나안시력은 양호하나, 근거리 나안시력은 별로
- 절대성 원시 : 최대조절력이 약해서 원거리와 근거리의 나안시력 모두 좋지않음
4. 총원시
잠복원시+현성원시
=조절마비하 원용검사의 처방값
- 잠복원시량 = 전원시-현성원시 = 생리적 긴장성 조절량
- 수의원시량 = 생리적 긴장성 조절력과 기능성조절이 모두 동원된 조절량
- 절대원시량 = 수의원시량의 부족으로 원거리 나안시력이 좋지 못할 대, 총원시량을 알 수 있는 가장 약한 +렌즈 굴절력
실제 임상에서 교정시 약간의 여유를 두고 함
- 현성원시 -일부의 조절력이 가미된 상태에서 원거리 선명시가 가능한 처방값
5. 정점간거리 VD
각막정점에서 안경렌즈의 상측정점까지의 거리. 0.012m, 12mm
정점간거리가 변하면 교정안경렌즈의 굴절력도 변한다.
원점굴절도A
|
눈 앞 1m근시
|
정시
|
눈 뒤 1m 근시
|
-1D
|
0
|
+1D
|
정점간거리l
|
상측초점거리 f'
|
굴절력
|
|
근시 -10
|
12~14
|
짧아짐
|
-11up
|
원시 +10
|
12~14
|
길어짐
|
+9down
|
정점간거리 12mm
원용안경 교정렌즈 굴절력 S-10D
실제 조제가공시 정점간거리를 14mm로 가공할 원용안경렌즈의 굴절력D'
근시교정용 -렌즈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지면 렌즈의 상측초점거리가 짧아져, 더 강한 굴절력의 렌즈가 필요하다.
원시교정용 +렌즈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지면 상측초점거리가 길어져, 더 약한 굴절력의 렌즈가 필요
따라서 정점간거리가 길어지면 근시는 저교정, 원시는 과교정
6. 정난시
강주경선과 약중경선의 양 주경선이 수직을 이루고, 경선들의 굴절력 변화가 규칙적임.
규칙난시로, 교정의 대상.
7. 각막난시, 수정체난시, 잔여난시
- 각막난시 : 각막면이 토릭면. 대부분의 난시
- 수정체난시 : 수정체면이 토릭
- 잔여난시(생리적 난시) : 눈이 가진 전체난시량에서 각막난시량을 뺀 눈
- 부정난시 : 표층각막염 등으로 각막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시력장애가 생길 때 눈의 조절작용이나 보통의 렌즈로 교정할 수 없는 상태. 치료가 어려우나, 경증의 각막염 등의 원인질환 치유시 교정이 될 수 있다. 각막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도 혼탁이 적을 경우, 교정이 되기도 한다. 각막 중앙부에 이식시 교정 될수도.
8.강,약주경선/ 전,후초선
강주경선 : 토릭렌즈의 강한 굴절력을 가진 경선. 강주경선을 따라 입사한 광선이 전초선
약주경선 : 토릭렌즈의 약한 굴절력을 가진 경선. 약주경선을 따라 입사한 광선이 후초선. 난시안의 약주경선방향이 교정실린더렌즈의 축방향.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은 직교함
전초선과 후초선의 거리를 스텀의 간격이라고 함.
이 간격이 클수록 난시의 정도가 심하다.
9. 직난시, 도넌시, 사난시
강주경선의 방향이 수직이면 직난시, 수평이면 도난시, 사방향이면 사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