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해부학
1. 공막
각막> 공막 > 시신경초
상공막, 공막실질, 갈색판
상공막 : 공막의 최위층. 공막실질과 구결막 사이. 혈관이 풍부한 결합조직 (전모양체동맥, 윤부혈관)
공막 : 무혈관 조직으로, 상공막과 맥락막으로부터 영앙 공급
갈색판 : 멜라닌 세포
얇은 순서 : 직근부착부 0.3mm < 적도0.6mm < 윤부0.8mm < 시신경 부착부위1mm (후안부로 갈수록 얇아짐)
위안와틈새(위눈확틈새) : 3눈돌림신경, 4도르래신경 코섬모체 -접형골 소익과 대익 사이
사상판 : 시신경, 망막중심동맥&정맥 - 접형골 소익과 사골 사이
아래안와틈새 : 5-1위턱신경, 아래안와정맥, 아래눈정맥 - 접형골 대익과 상악골 사이
개구부 : 전모양체동맥(4)
공막 적도부 (후반 4mm) : 와정맥 (4~5개)
후안부 : 장후, 단후 모양체동맥, 신경
2. 각막
제 5뇌신경인 삼차신경의 제 1가지 안신경
+43D의 오목매니스커스
전면 굴절력 +49 후면 -6
전면 곡률반경 +7.8mm 후면 곡률반경 -6mm
세로10.8 가로 11.8
각막상피 재생 : 원주세포
주변부 0.7mm, 중심부 0.5mm
오전에 가장 두껍고 점점 얇아진다.
각막상피
|
결막상피로 이행.
|
5층.
지용성 약제 통과.
원주세포에서 재생
익상세포, 편평상피세포로
|
보우먼막
|
안구집 테논낭으로 이행
|
무색의 섬유질.
교원 아교섬유 불규칙.
수용성 약제 통과.
불규칙한 교원섬유로 반흔 남음
|
각막실질
|
공막실질
|
keratocyte(섬유세포)에 의해 재생
교원섬유의 판상구조
친수성인 GAG가 교원섬유를 싸고있음.
|
데스메막
|
이행되는 곳 없음
|
결합조직으로 불규칙,
진균 통과가능.
점점 두꺼워짐
|
내피
|
윤부에서 섬유주망 >
홍채 앞면으로 이행.
|
나트륨칼륨펌프.
케라틴(단층의 불투명)
조밀결합
각막윤부와 쉬발베라인 (섬유주망)
|
영양공급 : 눈물, 방수, 전모양체동맥
3. 홍채
앞경계층 - 실질 - 근육층 - 뒤상피층
돌림띠부분이 두껍고, 뿌리쪽이 가장 얇음.
앞경계층 : 불연속적인 층구조
실질: 혈관 풍부
근육층 : 동공조임근 - 동공 가장자리. 수축시 동공수축
동공확대근 - 방사상모양. 홍채 뿌리
섬유아세포, 색소세포, 교원섬유와 풍부한 혈관 존재.
4. 맥락막과 모양체의 경계 : 거상연
5. 부교감신경 ; 동안신경을 타고 들어가서 90% 모양체근지배, 10%동공괄약근
조절) 모양체근 수축 > 모양체소대 이완 > 수정체 수축 > 동공축동
6. 섬유주망 : 각막내피가 끝나면서 쉬발베선을 통해 섬유주망으로 연결. 홍채 전면으로 이행
각막윤부의 안쪽을 둘러싸고 있음
방수 내 입자가 큰 부유물질 걸러냄
슐렘관의 전방쪽 외벽을 형성
노화하며 망상구조 틈새가 좁아짐.
> 녹내장과 관련.
비에룸 영역(활모양 암점)은 개방각녹내장 초기
7. 맥락막
모양체 (거상연)> 맥락막, 시신경유두 > 시신경초 연막과 거미막
거상연은 코쪽에서 앞쪽에 위치. 초족 5.7
단후모양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단후모양체동맥의 분지)
후안부로 갈수록 두꺼워짐
맥락막 모세혈관층은 망막쪽으로 밀착하여 분포
교감신경과 비모양체신경이 지배.
맥락막의 단후모앙체신경을 타고 >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비모양체신경
장후모양체신경 : 교감신경 - 동공산대근
단후모양체신경 : 교감신경 - 맥락막 혈관운동
부교감신경 - 동공괄약근, 모양체근
삼차신경 안신경 - 감각
망막의 외층에 영양공급,
망막으로부터 열 교환,
망막혈액장벽,
안구 내 암실기능
맥락막에서 망막으로 뚫고나가는 와정맥 : 4~5개.
8. 대홍채 동맥륜 : 2개의 장후모양체동맥, 7개의 전모양체동맥 (외직근에 1개)
9. 모양체상피층 : 앞으로는 홍채, 뒤로는 맥락막(거상연)
혈관과 색소세포 풍부
모양체상피층은 2층, 바깥쪽으로는 색소층, 안쪽으로는 무색소층
모양체는 귀> 코 폭
귀쪽 8mm 코쪽 7mm
10. 모양체상피
망막색소상피 - 모양체상피색소 - 홍채 후면상피색소,
망막신경층 - 모양체상피 무색소층 - 홍채 후면상피 무색소층
모양체상피 무색소층 - 발달된 골지체와 사립체
모양체 지배신경
감각신경 : 단후모양체신경을 타고온 안신경의 비모양체신경
운동신경 : 단후모양체신경을 타고 들어온 동안신경을 포함한 부교감신경
모양체근 : 불수의근/ 민무늬근 / 평활근
심장은 불수의근이지만 수의근인 횡문근
11. 눈을 뜰 때 : 윗눈꺼풀올림근: 동안신경
눈을 감을 때 : 눈둘레근 : 안면신경
12. 안구 부속기 - 누기, 결막, 눈꺼풀, 외안근, 안와
안구 내용물 - 방수, 수정체, 유리체
13. 수정체는 65%수분 +35% 단백질
14. 방수의 유출 (원거리>근거리시)
모양체상피 무색소층에서 생산되어
맥락막 주위공간(모양체) 후방 - 동공 전방 - 섬유주망 -(거대공포) 슐렘관 - 집합관 - 상공막 정맥
굴절률 1.33.
생산량 2ul/m
포도당, 아미노산, 아스코르빈산, 단백질
15. 안구 용적 : 6.5cc, 24mm
전극과 후극을 연결한 선을 안축이라고 한다.
시축 : 외부 주시점과 망막의 중심와
16. 안구의 내벽끼리 = 평행
외벽과 내벽 = 45도
외벽끼리 = 90도(직각)
17. 부비동 : 전두동, 상악동, 접형골동, 사골동
18. 눈이 깜짝 놀라 커질 때 : 뮐러근
눈을 뜰 때 : 동안신경의 상직근
눈을 감을 때 : 얼굴신경의 눈둘레근
19. 안와격막 :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눈꺼풀판에 분포. 안와 내용물을 보호하는 방어벽
20. 결막
전체적으로 배상세포(술잔세포-뮤신) 존재.
부누선, 혈관, 배상세포, 림프관..
가장자리는 회백선으로, 피부로 이행.
검결막 : 눈꺼풀 안쪽 - 소성결합조직으로, 혈관이 풍부하고 림프총을 이룸
구결막 : 공막 위 결막
원개결막 : 눈꺼풀과 공막 사이
21. 눈물층
부눈물샘 볼프강선, 크라우제선, 술잔세포, 자이스샘, 마이봄샘
눈물샘 ; 자율신경과 눈물샘신경 < 부교감신경의 지배
눈물 배출 경로 : 눈물점 > 눈물소관 > 눈물주머니 > 코눈물관 > 비강 아래콧길.
Ig A : 바이러스 중화, 박테리아 결합 막음
Ig E : 알러지성 염증시 증가.
Ig G : 박테리아 용해작용
Lysozyme : Ig A와 함께 세균 용해
B 리신 : 강력한 항균소
22. 양안은 같은 신경의 지배를 받아 같은 양의 움직임 : 헤링
단안운동시 한 근 작용시 길항근도 동시에 같은 강도로 억제 : 쉐링톤
외부의 자극으로 눈이 감기게 되면 눈이 상전하는 현상 : Bell's phenomenon 벨 현상
23. 광축과 이루는 각도
상직근 : 23도
하사근 상사근 : 51도
-제어인대가 과도한 안구운동 제어.
24. 총견륜에서 기시 : 상직근, 하직근, 외직근, 내직근
not ) 하사근 - 황반부 근처 후방의 공막에 부착
25. 외안근의 혈액공급
외직근 : 전모양체동맥, 눈물샘동맥
하사근 : 안동맥, 안와하동맥
내직근, 하직근, 상직근 : 전모양체동맥
상사근 : 안동맥
26. 외안근 길이
상직근 : 41mm
하사근 : 37mm
윤부에서부터
내직근 5mm
하직근 6mm
외직근7mm
상직근 8mm
27. 안구에서 망막이 가장 먼저 형성.
발생 4주차에 유리체동맥 출현 후 8개월차에 유리체동맥 소실
2주 신경관
3주 수정체판
5주 각막내피
7주 시신경, 외안근 ~ 4개월
3~10주 유리체
10주 삼차유리체
표면외배엽 : 각막상피, 결막상피, 눈꺼풀판선, 누도의 상피
신경외배엽 ㅣ 안포, 수정체, 망막색소상피
생후 6개월 황반 기능과 형태 완성, 입체시, 시유발전위, 융합수렴
생후 6년 입체시 완성
14살 안구의 크기가 성인
28. 시각전도로
시세포 - 시신경 - 교차 - 시삭 - 외측슬상체 - 시방사 - 시피질
부교감신경 : 동공괄약근 (동공부)이 동공축동
교감신경 : 동공산대근 홍채 각막윤부쪽에서 동공산동
>대광반사 : 한 눈에 빛을 비추면 양안 축소됨.
원심동공운동장애 : 눈돌림신경의 마비. 직접대광반사&간접대광반사 ㅅx. 밝은곳에서 동공 크기차이.
구심동공운동장애 : 시신경 질환.
아르길 로버트슨 : 대광x 근접0, 대광-근접반사 해리
호르너 증후군 : 교감신경장애로, 눈꺼풀쳐짐, 땀배출장애. 동공부등은 어두운 곳에서 더 심하다.
긴장동공 : 중년여성, 동공크기가 큼. 각막지각 및 섬모체기능 저하. 근접(강하게), 대광반사 해리
눈 전위도 : 눈의 상존전위, 망막색소상피
망막전위도 : 광자극. 망막 활동전위
시유발전위 : 망막의 시자극으로 인한 대뇌의 시피질
상공막염:자연소실되는 경우가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