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I 2025. 4. 2. 17:58

소크라테스

-에으터프론, 파이톤

-소크라테스의 사상 :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1. 자신의 삶을 검토하라
  2. 자신의 영혼을 돌봐라
  3. 자신의 무지를 깨달아라
  4. 스스로 진리를 깨달아라
  5. 소크라테스적 대화법의 핵심
  6. 도덕판단의 기본자세

스파르타와의 전쟁 (암피폴리스, 델리온, 포러다이아 전투 참전

필요로 하는 것을 최소로 하는 사람이야말로 신에게 가장 가까운 사람

청년들이 지녀야 할 덕

Know thyself. Gnothi Seavton

너 자신을 알라

도를 지나치지 말라

거울을 보면서 자신이 아름답다면 그 얼굴에 알맞도록 살 것이고,

못생겼다고 생각하면 교양을 쌓아 그 추한 모습을 덮도록 하라

소크라테스 윤리설

  1. 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아갈 만한 가치가 없다.
  2. 자신의 영혼을 돌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중요하다.
  3. 소크라테스적 무지
  4. 소크라테스의 역설

  1. The unexamined life is not worth living

캐묻지 않는 삶은 사람에게는 살 가치가 없다.

2. 재물로 인해 훌륭함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서의 훌륭함으로 인해 재물이나 그 밖의 것들이 훌륭하게 된다.

3. sophist: sophia 지식

eironeia > irony 무지에 대한 자각

질문에 의한 기존 지식 파괴 > 무지인식 > 지식의 허구성

arete 알라테 ; ~덕. ~다움

눈의 알라테가 좋다. 시력이 좋다. 눈이 좋다. 눈의 기능이 좋다.

4. elenchus 엘렌쿠스 : 논박의 방법. 산파.

직접 철학(생각)하라.

5. 아포리아 aporia

6. 도덕판단의 기본자세

도덕적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통해 결정

자기 스스로 자율적으로 판단.

소크라테스의 도덕규범

  1. 약속을 지켜라
  2. 남을 해치지 말라
  3. 부모와 스승의 말을 존중하라

탈옥의 부당성

  1. 국가와의 약속을 어김
  2. 국가에 해를 기침
  3. 국가는 곧 부모

철학은 말로만 정의했을 때는 철학이란 학문의 특성을 충분히 포섭할 수 없는 특징을 가졌다.

플라톤 철학에서의 비유

  1. 동굴에서의 비유 allegory of cave
  2. 태양의 비유
  3. 선분의 비유
  4. 쌍두마차의 비유

  1. 가시적 변화의 세계는 참된 세계가 아니라는 가정에서 출발.

현상계와 대비되는 현생게의 근원이 되는 세계를 예지계라 상정한다.

2. 좋음, 선의 이데아. 인식과 진리의 원인

3. 인식의 단계

가시적, 감각적 -----> 지성적

상 그림자, 실물----, 수학적 이데아 형상

상장 짐작 , 믿음 확신,추론적 사고, 지성에 의한 앎과 인식.

4. 인간의 영혼 ; 이성적=비이성적

이성적 : 배움과 지혜를 사랑하는 이성. 감성적인 기개.

비이성적 : 감각적인 하위 부분인 욕망.


전시 학습

  1. 지적으로 겸손하라
  2. 넓게 배워라
  3. 자세히 물어보라
  4. 열린 마음을 가져라
  5. 스스로 반성하러

최선을 다하라 : 실패가 아닌 성공으로 가는 과정이다.

try, a little more

carpe diem

현재를 즐겨라. 현재를 가장 의미있게 보내라.


철학의 5대 분야 Fields of Philosopy

  1. 형이상학 metaphysics
  2. 인식론 Epistemology
  3. 윤리학 ethics
  4. 미학 Aesthetics
  5. 논리학 logic

존재론 : 1

인식론 : 2 5

가치론 : 3 4

  1. 형이상학

모양 이상의 것을 탐구하는 학문.

인간의 감각으로 파악되는 것 이상을 탐구.

substance 궁극적 실체

2. 인식론

episteme logos

참된 앎

3. 윤리학

기술적 윤리학

규범 윤리학 : 순수규범 윤리학, 응용된 규범윤리학

분석윤리학, 메타윤리학

4. 미학

aisthesis 감성

5. 논리학 science of sciences

말의 이치를 논구하는 것.

모든학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학.

<논증 형식>

A 이든가 -A이다.

만일 A이면 B이다. . B이다.

최초 계약에 모순이 내재해 있음

개념 : 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된 요소들을 뽑아내어, 종합하여 얻는다.

명제 : 진술, 판단.

일이나 상황 사실에 대한 자세한 설명

논증 ㅣ 논리적으로 옳고 그름.

전제와 결론으로 구성된 일군의 논리적 집합체.

연역 논증 ㅣ 전제가 옳으면 결론은 반드시 옳다. 전제속에 결론의 내용이 이미 있다.

귀납 논증 ㅣ 전제가 옳아도 결론이 반드시 옳지는 않다. 결론은 전제속에 제시되어있지 않다.

현실과 견론이 맞지 않아도 논증 형식이 맞으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논리적 타당성 validity : 주장의 내용에 관련되는것이 아니라 논증의 형식, 즉 전제와 결론과의 관계에 관련되어있다.

< 논증형식 >

모든 a는 b이다.

모든 c는 a이다.

모든 c는 b이다.


오류론 theory of fallacy

연역논증에서의 오류.

  1. 형식적 오류 : 타당한 논리적 형식을 벗어났을 경우

2. 언어적 오류 : 언어의 부정확한 사용에서 발생하는 오류

3. 자료적 오류 : 사고의 대상인 자료로부터 생기는 오류

직접우연의 오류 : 일반적일때의 참말을 특수한 경우에도 참이라 할 때 발생

논점일탈의 오류 : 논점변경의 오류, 개인에의 논증, 숭배에의 논증, 무지에의 논증

논점 절취의 오류 : 선결문제의 오류, 보당가정의 오류

4. 복합질문의 오류 : 두가지 내용을 한 질문에 넣어서 할 때

귀납논증에서의 오류

  1.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 특수한 사례를 바탕으로 일반화 시도할 때
  2. 불충분한 통계오류, 결론으로 비약하는 오류
  3. 편향된 통계의 오류
  4. 거짓원인의 오류
  5. 피장파장의 오류
  6. 우물에 독뿌리기

불교사상

  1. 윤회사상

모든 중생들은 은헤와 사랑에 얽매여서 생사를 떠돌아다니면서 여기서는 죽고, 저기서는 나며 끝날 때가 없다.

2. 업과 연기.

윤회 .

인간이 살아있는 동안에 행하는 모든 행위는 그 행한 행위의 결과로 다음 생이 결정된다.

미래의 생 또한 현재 우리의 업 karma에 의해 결정된다.

3. 삼법인

- 제행무상 : 이 세상 삼라만상 가운데 변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다.

- 제밥무아 : 영원무궁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 열반적정 : 열반의 상태에 들었을 때, 괴로움이 없이 편안하다ㅏ.

4. 인생고

인간이라면 생 로 병 사 라는 고에서 벗어날 수 없다.

5. 욕망과 무명

우리의 잘몬된 욕망, 갈애 때문에 고통이 생긴다.

6. 사성제

고 집 열 도를 깨우쳐야 인생을 바로보고 열반 nirvana에 도달한다.

7. 불교적 인간관

인간 : 육체부분 + 정신부분

rupa + nama


기독교사상

  1. 창조론
  2. 타락론
  3. 구원론

  1. 우주창조와 인간의 탄생

모든것들의 존재 근거 : 하나님

2. 인간과 영혼 : 하나님을 인식하고 그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줄 아는 놀라운 능력을 부여받았다는 이야기.

3. 사탄의 유혹과 인간의 타락

4. 관계의 단점

사과 먹고 인간적인 노고 시작.

3가지 관계가 단절

1)하나님과의 좋은 관계

2) 서로 사랑하는 단계에서 원망

3)자연과 인간의 관계도 나빠짐

5. 인간의 교만성와 원죄

카르마, 신, 쿄만

6. 심판의 문제

하르마티아 harmartim

표적을 벗어났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