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롭터의 구조
포롭터란 다양한 렌즈를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합성된 렌즈케이스 형태의 디자인으로, 수동식과 자동식으로 나뉜다.
PD 조정자, VD조정자, 수준조정자
레슬리 프리즘, 구면렌즈, 검안창, 잭슨실린더렌즈,
구면렌즈 다이얼, 실린더 축, 실린더 파워,
보조렌즈, 보조렌즈 다이얼 등이 있다.
PD 조정자는 이를 이용해 두 눈의 PD를 조정하며, 이를 잘 맞추지 못할 경우 수평사위가 생길 수 있다.
VD 조정자는 VD를 조정하며, 정점간거리는 12mm다.
수준조정자는 물방울을 이용해 포롭터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를 잘 맞추지 못할 경우 수직사위가 생길 수 있다.
레슬리 프리즘 : 로타리프리즘이라고도 한다. 프리즘렌즈의 축을 잡아준다.
구면렌즈 : 옆의 구면렌즈 다이얼을 통해 교체한다.
검안창 : 보조렌즈를 O로 하여 검안창을 통해 주시한다.
보조렌즈 : 보조렌즈는 좌우가 다르다.
O open되어있다.
OC occluded 차폐되어있다.
R 레트니스코프 1.5D
P 편광렌즈
RMV 사위검사할 때 쓰는 마독스로드 수직봉
RMH 사위검사할 때 쓰는 마독스로드 수평봉
오른쪽에는 G의 초록렌즈, 왼쪽에는 R의 빨간렌즈
1. 만일 시력이 0.5 미만인 경우, -0.25D씩 3단계(-0.75D)를 올려도 약 0.7정도가 보이지 않는다면 핀홀을 장착 후 검사한다.
|
1. 시력향상이 없다면 안과적질병이 있을 수 있어, 안과로
2. 시력향상이 있다면 굴절력 검사를 잘못 한 것이므로 처음부터 다시 난시검사를 한다.
|
PH 핀홀검사. 시력이 안나오는 요인으로 안과적 질병이 있는지 확인할수있다.
프리즘렌즈 오른쪽 6ΔBU, 왼쪽10ΔBI가 들어있다.
2. 포롭터를 이용한 #7A 자각적굴절검사
준비과정
1. 검안창의 구면도수, 실린더 도수를 0으로 맞춘다.
2. PD를 조정한다.
3. 수준기의 수평을 조정하고 정점간 거리를 확인한다.
안굴절검사
1. 보조렌즈 유닛을 우안 O 좌안 OC하여 환자의 우안부터 검사한다.
2. 타각적 굴절검사에서 검출한 예상도수에서 +2~3D 부가하여 운무하여 조절이완시킨다. 문자시표 0.1을 간신히 볼 수 있거나 없는 정도로 한다.
근시는 한꺼번에, 원시는 한단계씩 서서히 운무한다.
3. 구면도수를 - 쪽으로 진행하며 0.5 정도가 보일 수 있게 한다.
4. 시표를 * 모양의 방사상시표로 바꿔 난시의 축을 검사한다.
1. 난시 축 검사
|
1. 여러개의 선 중, 특별히 진해보이는 선이 있는지 확인한다.
-모두가 고르다면 난시가 없음.
-특별히 진한 선이 있다면 숫자X30을 한 것이 -실린더 축방향
2. 가장 진하고 확실히 보이는 선의 양 옆선의 농도를 비교한다.
- 양 옆선의 농도가 같을경우 끝
- 농도가 다를경우 양 옆 농도 중 더 진한 쪽으로 원주 축을 보정한다.
|
2. 난시량 검사
|
원주렌즈를 0.25D씩 올린다.
난시표의 선 농도가 같아질 때 까지 도수를 올린다.
|
5. 문자시표로 바꿔, 최고 시력이 나올 때 까지 구면렌즈를 - 방향으로 올린다.
6. 최고시력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측 도수를 구한다.
7. 다시 + 쪽으로 조정하여 0.6 시표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운무한다.
8. 구면도수를 -측으로 한 단계씩 올려 최고시력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측 도수를 구한다.
만약 +측 도수가 아닐 경우, 근시는 과교정, 원시는 저교정이 될 수 있다.
3. 적녹시표를 이용한 구면 정밀검사
4. 렌즈미터의 목적
렌즈미터는 안경렌즈 혹은 콘택트 렌즈가 가진 굴절력의 파워, 혹은 양 주경선의 굴절력 축을 측정하는 광학중심점을 찾아 인점을 찎기 위한 기구이다.
1. 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측정
- ±25.00D까지 0.25D 단위로 측정 가능
2. 렌즈의 프리즘굴절력(~5Δ) 및 기저방향 확인
-1프리즘디옵터는 1m 떨어진곳에서 1cm 편위
- 프리즘컴펜세이터 장착시 22Δ까지 확인가능
3. 렌즈의 광학중심점 인점 확인
4. 토릭렌즈의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상측정점굴절력과 양 주경선의 위치 확인.
5. 렌즈미터를 이용한 렌즈디옵터 측정
1. 시도조절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시도조절환을 시계반대방향(왼쪽)으로 최대한 돌린 후, 각도 눈금을 주시하면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며 각도 눈금이 선명하면 멈춘다.
2. 타겟상 정위치 확인
-측정핸들을 돌려 타겟 상을 선명하게 조절하고 중앙에 위치시킨다.
이때, 렌즈미터는 반대로 움직인다.
3. 렌즈 세팅
-렌즈 후면의 중심을 렌즈받침대에 닿도록 고정 누름판을 내려 렌즈 고정
4. 광학중심의 센터링
-크로스라인 타겟 회전핸들을 돌려서 선명한 초선의 선상의 코로나를 일직선으로 일치시킨다.
-재차 디옵터 다이얼을 돌려 정확한 굴절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정한다.
5. 각도 측정
-강주경선은 전초선, 약주경선은 후초선.
-초선을 찾을 때, 하 초선의 직각방향이 선명한 초선으로 변경될 때까지 디옵터 다이얼을 회전한다.
6. 디옵터 읽기
7. 인점 찍기
6.렌즈미터의 종류로는 망원경식과 투영식이 있다.
종류
|
망원경식
|
투영식
|
장점
|
•시도조절에 의한 측정
•광량이 적어도 밝은 타겟상
|
•시도조절이 필요없음
•조절 개입 없음
•측정값이 정확함
•여러명이 확인 가능
•최근 누진렌즈 측정 가능
|
단점
|
•사용자마다 시도조절 필요
•눈의 조절 개입으로 측정오차 유발 가능
|
•고가
|
1. 조리개에 대해 쓰시오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
조리개의 종류로는 구경조리개와 시야조리개가 있다.
구경조리개는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상의 밝기 조절하여 눈에 들어오는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주변부 광선을 차단하여 수차를 줄여, 상의 질을 향상시켜준다.
입사동과 출사동이 있는데,
입사동은 홍채 가장자리 겉보기상이라고 하며, 구경조리개 앞에 놓인 광학계에 의해 생긴 구경 조리개의 상이고,
출사동은 구경 조리개의 뒤에 놓인 광학계에 의해 생긴 구경 조리개의 상이다.
2. 시야감도 (피사체심도)와 초점심도의 비교와 설명
선명한 물체들을 볼 수 있는 물체 쪽 범위를 피사체 심도, 상 쪽의 범위를 초점 심도라고 한다. 피사체 심도 경계 물체들에 의한 착란원의 크기를 허용 착란원의 크기라고 한다.
3. 망원경에 대해 쓰시오
망원경이란 먼 곳에 있는 물체에 대해 더 크고 밝은 상을 만들어 더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렌즈나 거울을 조합하여 만든 광학 기기이다. 망원경은 대물렌즈나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고, 이 상을 접안렌즈로 확대하여 실제보다 크게 보이게 한다.
4. 사진기에 대해 쓰시오
사진기는 촬영기, 카메라라고도 하며 빛을 이용하여 그림을 촬영해 이미지를
기록하는 도구이다.
5. 검안경에 대해 쓰시오
검안경이란 망막을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기구이다.
검안경의 종류로는 직상검안경과 도상 검안경이 있다.
직상검안경은 정립상으로, 똑바로 서 있는 물체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배율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관찰범위가 좁아진다.
도상검안경은 도립상, 즉 뒤집어진 모습이며 상대적으로 배율이 낮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직상검안경에 비해 넓은 범위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6. 검영기(레트니스코프)의 목적
7 검영법의 종류에 대해 쓰시오
이동식 검영법, 고정식 검영법
검영법은 사람의 눈에 빛을 비춰서 어느정도 굴절이상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즉 이는 타각적 굴절 검사법의 일종이다. 검사거리가 눈앞 D에서 중화될 때, 우리는 의 근시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고정식 검영법은 앞에서 말한 이동식 검영법과 같이 사람의 눈에 빛을 비춰서 어느정도 굴절이상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고정식 검영법은 동행, 중화, 역행을 통해 망막 반사광의 경로 및 형상을 관찰한다.
8. 광선속 종류와 레티반사에 대해 쓰시오
25cm(-4.00D)
33.3cm(-3.00D)
50cm(-2.00D)
67cm(-1.50D)
발산 광선속
|
50cm검영
(-2.00D)
|
수렴 광선속
|
약한 근시
정시
원시
|
동행
|
-2.00D
이상의 근시
|
-2.00D근시
|
중화
|
-2.00D근시
|
-2.00D이상의 근시
|
역행
|
약한 근시
정시
원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