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대사 :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동화작용(광합성) & 이화작용(세포호흡)
저>고 흡열 ----------------고>저 방출
포도당>글리코젠 --------글리코젠>포도당
(인슐린 분비) -----------(글루카곤 분비)
아미노산>단백질합성 -- 단백질 > 아미노산
세포호흡
C H O + N (단백질)
N > 암모니아 --(간)--> 요소 --콩팥---
생물분류
- 인위분류법 : 사람 기준의 서식지,환경 등
- 자연분류법 : 색뭉 상호간의 유연관게와 진화의 게통, 형태학적 특징, 계통적 특징, 생리적 특징
1) 2계 분류 : 운동성의 유무
운동성0 : 동물계
운동성x : 식물계
2)3계 분류 : 미생물
단세포 생물 > 원생생물계의 분류
3) 4계 분류 : 핵의 유무
4) 5계 분류 : 광합성 x
생물분류의 게급
역 > 계 > 문 > (아문) > 강 > 목 > 과 > 속 > 종
진핵동물역 동물계 척추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사람과 사람속 사람종
아종 : 지역적 분포가 다름 / 시베리아, 한국호랑이
변종 : 자연적 돌연변이 / 찰벼, 피앙
품종 : 인위적 개량 / 부사, 청량고추
종간 잡종
암말 + 수탕나귀 =노새
> 생식능력이 없으므로 말과 당나귀는 다른 종이다
암호랑이 + 수사자 = 라이거
암사자+수호랑이 = 타이곤
후생동물
|
||||
해면동물
(해면)
|
자포동물
(해파리,
말미잘)
|
진정후생동물
|
||
전구동물
|
후구동물
|
|||
원체강류
|
진체강류
|
|||
유형동물
(끈벌레)
|
절지동물
(곤충류, 거미, 새우)
|
모약동물
(화살벌레)
|
||
판형동물
(플라나리아)
|
환형동물
(지렁이, 갯지렁이)
|
국피동물
(성게, 불가사리)
|
||
선형동물
(선충, 회충)
|
연체동물
(조개, 민달팽이, 오징어)
|
원삭동물
(활유어, 멍게)
|
||
윤형동물
|
|
척추동물
(어류, 조류, 포유류)
|
||
|
|
|
배엽수에 다른 분류
- 무배엽성 : 포배단게에서 발생 끝, 세포수준
- 이배엽성 : 낭배단계에서 발생 끝, 외배엽 내배엽
- 3배엽성 : 외배엽, 내배엽, 중배엽을 갖는 동물
자포동물 : 이배엽성(해파리, 말미잘)
원구의 분화에 다른 분류
전구동물 : 원구가 입이 되고 반대족이 항문이 만들어지는 동물
후구동물 : 원구가 항문이 되고 반대족에 입이 후에 생기는 동물
진정세균역 : 진정세균계
고세균역 : 고세균계
진핵생물역 : 원핵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
세포의 구조와 기능
원형질 : 핵 + 세포질
후형질 : 세포벽 + 액포
- 핵
핵막 : 인지질 이중막
핵공
염색사 : 염색체로 밀집될 예정
인 : 리보솜 생성, 간기에만 관찰 가능. 단백질 + rna
히스톤단백질 + DNA = 뉴클레오솜
2. 세포질
1) 세포막 (인지질 단일막 )
선택적 투과성 단일막. 수용성 x
인지질 + 단백질로 구성
콜레스테롤. 탱글함
유동 모자이크 막 : 단백질이 인지질층 속에서 떠다님
2)미토콘드리아
자체 dna, 리보솜 함유
이중막 구조
atp 생성
크리스타 구조(핫도그)
3)소포체
세포질 그물. 분비물 배출, 물질운반 등
거친면소포체 : 과립세포질그물. 리보솜 부착, 분비성 단백질(이자에서 발달)
매끈면소포체 : 무과립세포질그물. 리보솜x Ca^2+ 저장. 지질 합성(부신겉질에 발달)
4) 리보솜
단백질 합성장소. 단백질+RNA
5) 골지체
단일막. 단백질 가공(인산화, 당 결합 등)
단백질 이동 조절
6)리소좀
단일막, 가수분해효소, 세포 내 소화작용 및 식균작용
소포체>골지체>리소좀 - 소화작용. 식균작용
7)중심체
중심립 두 개
주로 동물세포. 방추사 형성.
섬모, 편모 형성 관여
8) 엽록체
광합성 장소.
자체DNA 리보솜 함유
2중막 구조
틸라코이드가 쌓인 그라나(명반응), 스트로마(바탕질, 암반응)
엽록소 (녹), 카르티노이드 (케로틴 : 적황 / 산토필 ; 황), 백색체 (전분 등의 저장부위)
후형질
- 세포벽
식물세포.
셀루로스가 주성분
중간층(팩틴), 1차벽(셀룰로스), 2차벽의 3층막 구조(리그닌, 슈베린, 큐틴)
2. 액포
식물세포 특징으로, 성숙한 식물세포에 발달.
삼투압 유지
물질의 구성단위
- 원자
원자핵 : =전하 (양성자+중성자)
전자 : -전하. 원자핵 주위를 돌고있음.
원자의 종류에 따라 +전하를 띤 양성자 수가 다름 (양성자수 = 원자번호 )
중성자 : (+)전하의 양 = (-)전하의 양
원자핵 > 전자
원자량(질량수) = 양성자수 + 중성자수
동위원소 : 양성자수가 같더라도 중성자수가 다른 원소.
원자핵이 불안정한 경우 방사성 동위원소